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식정보39

며느리배꼽, 며느리밑씻개 꽃말 효능 그리고 며느리밥풀꽃 전설 비슷한 이름 다른 식물. 며느리밑씻개와 며느리배꼽이라는 풀은 똑같이 며느리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식물이다. 며느리배꼽도 그렇고 며느리밑씻개도 가시가 돋아난 거친 식물이다. 도대체 얼마나 며느리가 미우면 이런 가시 돋은 식물들을 며느리밑씻개니 배꼽이니 하는 민감한 부위에 고통스러운 느낌이 들게 이름을 붙인 걸까? 분류 : 마디풀과(Polygonaceae) 한해살이풀 아명: 참가시덩굴여뀌(북한), 사광이 풀, 악마의 꼬리를 닮은 풀, 강반귀(중국) 노호리, 노호자, 노호구 며느리배꼽 영문명: Mile-a-minute weed , Devil’s-tail tearthumb , イシミカワ 학명:Persicaria perfoliata (L.) H. Gross 벼느리배꼽 꽃말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높이: ~ cm.. 2021. 8. 6.
정릉은 누구의 묘인가? 의답은... 제주도에 한 달 살기 중이다. 위미항에 놀러갔더니, 위미항 옆 해안도로를 따라서 건축학개론 관련 글귀가 보여서 갑자기 떠올랐다. 사실 그 글귀에서 살짝만 등 뒤로 돌아서면 위미리에 위치한 건축학개론 서연의 집 촬영지로 쓰였던 건물이 카페가 되어 서연의 카페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건축학개론이라는 영화를 보면, 강의시간에 교수가 학생들에게 던지는 질문 중에 이런 질문이 있다. "정릉은 누구의 묘인가?" 라는 질문인데, 주인공인 수지는 답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웃음을 자아내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당신은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가? 정릉이 누구의 묘인지 알고 있었다면 이 블로그를 검색해서 들어오지도 않았을 테지요~ 정릉은 조선을 창건한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 씨의 능이예요. 신덕왕후 강 .. 2021. 8. 5.
8월 페르세우스 유성우 서울근교 별보기 좋은 곳, 교외 파주, 양평, 강화도,영종도 별똥별보기좋은장소 추천. ar45 매년 8월 12,13일 새벽에는 최대의 우주쇼가 펼쳐집니다. 바로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떨어지는 날인데요. 사실 이 멋진 우주쇼는 7월 17일부터 8월 24일까지 진행 중인 우주 이벤트입니다만... 8월 12,13일 이 가장 유성우가 많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극대기입니다. 아쉽게도 2017년에는 PER은... 광해가 심해서 시간당 발발수가 50개 미만이었습니다. 2019년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기 ZHR은 100 정도 되지만, 극대기 시간은 13일 오전 11시라 12일 밤에서 13일 새벽이 가장 관측 개수가 많을 것이나 ZHR에는 못 미칠 것입니다. (시간당 발발 수라는 것은 1시간에 하늘에서 관측되는 별똥별의 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복사점은 북쪽에서 북동쪽 사이 페르세우스 별자리 부근인.. 2021. 8. 1.
사찰의 수문장 금강역사 vs 사천왕 일전에 예산에 있는 수덕사를 다녀왔는데요. 드물게도 사찰의 입구로 금강문과 사천왕문이 둘 다 있는 사찰이었네요. 수덕사의 금강문을 지키고 있는 금강역사(金剛力士)들도 수문신이고, 사천왕문을 지키고 있는 사천왕(四天王)들도 문을 지키는 수문신인데요. 수덕사에는 왜 이렇게 수문신이 많은 걸까요? 아... 아니... 그보다 두 수문신 들 중에서 누가 더 높을까요? 우리나라 사찰의 문의 배치되는 순서는 "선문-일주문-금강문-사천왕문" 을 지나도록 되어 있어요. 일단 이 순서만 본다면... 사실 답은 뻔합니다. 항상 게임이나 영화에서 최종 보스라던지 끝판왕이 처음부터 나서지 않죠. 맨 나중에 나오는 중간 보스들이 더 높으니까, 먼저 놓여 있는 금강역사들보다 나중에 나오는 사천왕들이 더 높겠지요? 사실 이름만 봐도.. 2021. 7. 30.
올해의 사자성어 임중도원 지록위마 유래 파사현정(破邪顯正) 아시타비 뜻 매년 연말이 되면 소위 지식인들이 그 해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를 뽑는다. 매년 교수 1천 명의 설문조사로 선정하는 올해의 사자성어. 다른 블로그에 있던 글이지만 블로그가 망해서 옮기는 중인데... 내 이름이 현정이라 아끼는 글이라 시간이 지났지만 옮겨둔다. 2020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아시타비 뜻은 한마디로 '내로남불'이다. 아시타비는 원래 존재하던 고사의 사자성어는 아니다. ‘내로남불’을 한자로 바꾼 신조어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줄임말인 ‘내로남불’은 말 그대로 똑같은 상황에 부닥쳐도 남은 비난하고 자신에게는 너그러운 것을 뜻한다.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혔던 사자성어는 공명지조다. 공명지조는 불교의 경전인 '아미타경'를 비롯하여 여러 경전에 나오는 새인데 한 몸에 .. 2021. 7. 6.
불곰국의 뜻과 불곰국의 위엄 불곰국의 위엄, 불곰국의 뜻. 어제는 천조국의 위엄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는데, 한때는 핵미사일 하나로 천조국과 맞짱을 뜨던 분이 계셨지...(맥콜 CF 버전으로). 이름하야 불곰국. 불곰국은 러시아의 별칭이다. 미국이 국방비와 한국과 미국의 굴욕적인 사대관계 같은 외교에 빗대어 천조국이라 부르는 반면에 터프하고 쿨한 성격의 러시아 사람들의 특징을 따서 불곰국이라고 칭한다. 천조국의 위엄이 대부분 돈쥐롤이라면, 불곰국의 위엄은 대부분 러시아인 국민성에 대한 감탄과 경외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미 해병대원들이 훈련 중에 통나무를 힘겹게 여럿이 들어 올리는데, 러시아의 주부는 혼자서 "통나무 그딴 건 문제도 안되지" 라면서 들어서 나르고 있다. 불곰국의 위엄은 블라드미르 푸틴 대통령의 위엄이기도 한데, 푸틴.. 2021. 6. 30.
곤포 사일리지 가격 무게 논 마시멜로우 같은 그거 이름이 뭐지? 여행과 낚시를 좋아하는 나는 여행을 다니다 보면 주변 풍경 속에 놓인 거대한 마시멜로 같이 생긴 것의 정식 명칭이 궁금했다. 논에 마시멜로우 같은게 먹음직스럽게 놓여있어서 우리 가족은 논 마시멜로우 혹은 농촌 마시멜로우라 부른다. 볏짚을 말아서 포장해놓은 마시멜로 같은... 음.. 쟨 도대체 이름이 뭔지... 뭐에 쓰고 어떤 건지는 알겠는데, 도저히 저 녀석의 정식 명칭을 몰라서 늘 궁금했다. "넌 도대체 이름이 뭐니?" 그거 이름이 뭐지? 알아 봅니다. 이 마시맬로우 같이 생긴 것의 이름은 곤포 사일리지다. 梱包 silage 한자어와 영어의 합성어라 영어로 말할 때 "gonpo silage"라고 하면 콩글리시가 된다. 논 마시멜로우의 곤포는 볏짚이나 건초를 압축하는 것을 말하고 사일리지는 발효시키는 것.. 2021. 6. 24.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죽지 않는 왕 - 무왕 단종 이홍위 조선왕 이름 조선시대 왕의 본명 요즘 웹소설에 푹 빠져 살다 보니, 문피아의 대체역사소설, 판타지 역사소설 등을 섭렵하는 중이다. 최근 보는 작품 중에 가장 압권으로 꼽는 작품은 작가 코락스의 "죽지 않는 왕 - 무왕 단종"이라는 작품이다. 작년에 1부가 마무리 되고, 외전을 거쳐 6월 16일부터 죽지 않는 왕 무왕 단종 2부 연제가 시작됐다. 선택 구매를 하면 최대 10개의 쿠키를 보너스로 주기 때문에 아끼는 중이라 아직 2부는 보지 못하고 있다. 이 소설의 213화 '북경성 포위(2)'편을 보면 역사 속의 그 남이가 적의 사신을 겁박하기 위해 직접 만든 함거를 황제 앞에 대령하고서는 북명 사신 정사 제장에게 삿대질을 하며 다음과 같이 설한다. "너 이 건방진 한인의 졸개는 들어라. 이 수레에 달린 것들이 보이느냐? 지금부터 너를 여.. 2021. 6. 20.
충무공 이순신 자 호 휘 차이, 세종 고종 묘호 시호 뜻 존호 능호 자(字) 휘(諱) 호(號) 시호(諡號) 존호(尊號) 묘호(廟號) 능호(陵號)의 정의와 차이 아시아권에서는 예부터 누군가를 직접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꺼리는 관습이 있었다. 개인정보 보호법이 있던 것도 아닌데... 아니 그보다 이름은 부르려고 만든 것 아니던가? 名은 이름 명이잖은가? 무언가를 이르는 명칭으로써 '이름'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그걸 지어 놓고 부르기를 꺼리다니... 대신 최강창민, 유노윤호...처럼 이름 대신 부를 호를 만들어 불렀다. 부자지간이나 사제지간이 아니면 이름을 부르지 않았고, 친구사이에는 특히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았다. 이 문장 오해 없기 바란다. 부자지간이나 사제지간에서 이름을 불렀다는 것은 손위 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이름을 불렀다는 것이지, 서양 것들처럼 아들이 아버지 이름.. 2021.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