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식정보/어원 어학 유래 역사11

그리스 문자 읽는 법 순서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과 포네틱 코드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 그리스 문자와 포네틱 코드: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부터 오메가까지, 그리고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 서론: 그리스 문자와 포네틱 코드의 차이점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과 "알파, 브라보, 찰리, 델타, 에코"는 매우 유사하게 들릴 수 있지만, 전자는 그리스 문자를 나타내고 후자는 포네틱 코드를 나타냅니다. 이 두 시스템은 어디서 왔으며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그리스 문자의 역사와 구성 그리스 문자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페니키아 문자를 차용하여 만든 것으로, 기원전 1000년경에 완성되었다고 추정됩니다. 이 문자 체계는 총 24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7개는 모음, 17개는 자음입니다. 이후 로마 문자와 함께 서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수학과 .. 2023. 9. 13.
조선왕조 가계도 조선의 왕들 조선왕 이름 본명 자 호 휘 조선왕 이름 조선시대 왕의 본명 조선왕조 가계도 참고로 조선왕실 가계도로 본 조선왕 이름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 왕 이름 소개 조선 왕들의 이름은 피휘를 했습니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왕위에 오를 것을 예측하지 못한 경우 외자가 아닌 2글자 본명을 갖게 되었으나, 왕위에 오르는 경우 외자로 이름을 개명하기도 했습니다. 따지고 보면 조선왕 25명, 황제 2명 중에서 적장자는 몇 명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피휘를 2글자를 한 왕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조선 왕들의 이름과 그 변천사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은 조선왕조 가계도입니다. 조선의 왕들 1-27대까지 조선의 왕은 몇 명인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회색은 조선시대 추존왕입니다. 혹은 대군, 군입니다. 조선왕 이름의 특징 조선 왕의 이름으로 알고 .. 2023. 9. 9.
표준어 배개 배게 베개 베게 맞는 맞춤법 정리 표준어 배개 배게 벼게 벼계 베계 베게 베개 맞는 맞춤법 정리 서론 한국어는 때로 미묘하게 헷갈리는 철자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베게"와 "베개"입니다. 두 단어를 구분하여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베게"와 "베개"에 대한 표준어와 맞춤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개 베개? 베게가 맞을까요? 베개가 맞을까요? 미묘하게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 베게 배개 배게 베게 표준어는 뭘까요? 배개,베게,배게...심지어 어떤 사람은 배계라고 쓰는 사람도 봤습니다. 한글의 다양함이란... 표준어로서 맞춤법에 맞는 말은 "베개"입니다. "베게"는 틀린 표현으로, 올바른 표준어는 "베개"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규칙에 따라서 "베개"가 맞는 말인.. 2023. 8. 3.
조선시대 이름 짓기, 여자, 남자, 평민, 양반의 자와 호 아명 관명 재미로 조선시대 이름 짓기: 태어난 달과 날을 가지고 조선시대 이름 짓기를 해보세요. 아.. 제 이름은 순구입니다. 전... 이건 조금 다른 버전입니다. 제 이름은 맹렬이네요. 이쯤 되면 이걸 만든 사람들이 그저 웃자고 만든 게 확실한데 뭔가 좀 악의 적이네요. 여기서 제 이름은 똘봉입니다. 이건 조선시대 이름이 아니라 인디언식 이름 짓기 같네요. 빌어먹을 배곯던 노비들의 왕이었습니다. 기왕 재미로 조선시대 이름 짓기를 해 본 김에 진지하게 조선시대 이름 짓기에 대해 자세하고 진지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먹고 제 다른 블로그 방문자 유입을 살펴보던 중 놀랄만한 자료 하나를 보았습니다. 이름 짓기, 이름 짖기 맞춤법 올바른 것은? 의외로 '조선시대 이름짖기' 검색량이.. 2023. 8. 1.
멋있는 라틴어 단어와 그리스어 숫자 모노 디 트리,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터시어리, 펜타 헥사 옥타 어원 멋있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단어를 통해 영어 용어 이해하기 멋있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단어 외국어는 우리에게 멋진 이미지와 지식을 제공합니다. 특히 라틴어와 그리스어는 영어 용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멋있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단어들이 어떻게 영어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고대 그리스 숫자들인 모노, 디, 트리, 테트라, 헥사, 펜타, 헵타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살펴봅시다. 모노 (Mono): '하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모노포드는 다리가 하나인 삼각대를 의미합니다. 디 (Di): '둘'을 의미합니다. 다이옥신은 환경 호르몬으로 유명한데, 옥신이 2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트리 (Tri): '셋' 또는 '세 개'를 의미합니다. 트라이앵글은 삼각형을 뜻하며, 악.. 2023. 7. 23.
블루문 블러드문 핑크문 벅문 스터전문 하베스트문 슈퍼문 뉴문 골드문 - 전세계 달의날 다양한 달의 이름과 별명, 달 색 7월 20일은 전 세계 달의 날이랍니다.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날이라서 전 세계 달의 날이라고 합니다. 달 모양과는 상관없지요. 1969년 7월 20일 20시 17분 UTC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빙에서 오늘이 달의 날인 것을 알려주더군요. 뭐 딱히 전 세계적으로 별다른 이벤트는 없습니다. 2021년 UN의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적 협력에 관한 결의안에서 유인이 지정한 국제적인 기념일로 달의 날이라고 선언했다고 합니다. 이 날짜가 달의 날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달 착륙한 날이구요. 달은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천체입니다. 그동안 많은 문화와 지역에서 달에 이름과 별명을 붙여왔는데, 이는 역사적.. 2023. 7. 20.
충무공 이순신 자 호 휘 차이, 세종 고종 묘호 시호 뜻 존호 능호 자(字) 휘(諱) 호(號) 시호(諡號) 존호(尊號) 묘호(廟號) 능호(陵號)의 정의와 차이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에서 자, 휘, 호, 시호, 존호, 묘호, 능호는 이름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들 용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계속 사용되어 온 중요한 개념이며, 각각 다른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자, 휘, 호, 시호, 존호, 묘호, 능호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권에서는 누군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을 꺼려서 호를 많이 이용했습니다. 특히 부자지간이나 사제지간이 아니면 이름을 부르는 것은 실례였고, 당연히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이름을 부르지, 아랫사람이 윗사람 이름을 직접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금기시되다시피 했습니다. 어.. 2023. 7. 19.
고산자 김정호는 백두산에 오르지 않았다? 대동여지도는 불태워지지 않았다? 우리가 역사시간에 대동여지도에 대해 배울 때 이런 이야기를 배웁니다. 고산자(古山子) 김정호는 조선에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 싶어서 자비를 들여서 평생의 업적으로 "실측"으로 매우 정확한 축척의 대동여지도를 만들었지만, 외침에 시달리던 흥선대원군이 "지도가 너무나도 정확해서 적을 이롭게 하니 대동여지도는 불태워버리고 김정호는 죽여버려라"라고 해서 대동여지도는 불태워지고 김정호는 옥에 갖혀서 고생하다가 옥사했다. 라는 것을 정사로 기억하고 있죠. 참 우리는 우매한 시대를 살아온 것 같네요. 가르치면 가르친데로 무조건 외우고 배워서 그 것이 진리인양 믿고 살고 있죠. 과연 조선시대에 일개 평민이 조선팔도를 발로 걸어 다니면서 지도를 만든다는 것이 가능하기나 했을까? 그게 불가능한 일이니 김정호의 업적이 아니겠.. 2021. 9. 7.
공도 뜻 : 공도 주행이 뭐야? 사거리 대우회전 직진차량 교통사고 자동차 관련 정보를 찾아서 인터넷을 뒤지다 보면 흔히 접하는 단어 중의 하나가 "공도"라는 단어다. "도대체 공도가 뭔데?" 대체로 문맥상의 뜻은 아마도 일반도로를 뜻하는 "공공도로"의 줄임말이 아닌가 생각된다. 공도에서 주행한다는 문맥으로 볼 때 분명히 공도는 공공도로를 지칭하는 말 같다. 일반도로 시내주행 등 다른 말들도 많을 텐데 왜 공고라는 말을 쓸까? 네이버의 모 카페에서 누군가 공도 뜻을 물어보는 질문을 올려놓은 글에 답글들이 질문자를 놀리는 답글들이 달렸다. 이를테면....안성시에 공도라는 지역이 있는데, 그 지역에서 달리는 걸 뜻한다거나... 뭐... 그런? 공도는 지명이기도 하고 공업도시를 뜻하기도 하는데 사전에 있는 여러 뜻 중에서 '공중이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통행하도록 나라나 도, 시.. 2021.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