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식정보39

사자자리 유성우 극대기 leonids meteor shower 11월 우주쇼 저는 별자리 이야기에 관심이 많아서 스마트폰에 별자리 앱을 깔아 놓고 쓰고 있어요. 2018년 11월 17일에 폰의 푸시 알림으로 "leonids meteor shower 유성우 극대기"라는 알림이 떠 있더군요. 연중 4대 유성우가 유명합니다. 연중 가장 화려한 유성우는 8월 페르세우스 유성우입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1년 중 우주쇼 중에서 화려하고 별똥별이 가장 많이 떨어지죠. 사자자리 유성우는 11월에 유명합니다. leonids meteor shower는 11월 6일부터 11월 말까지 관측이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 극대기는 17일이나 18일 경이됩니다. 유성우의 복사점이 사자자리 별자리 방향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사자자리 유성우라고 부릅니다. 8월의 유성우에 비해서는 좀 덜하지만 11월의 우주쇼 중에.. 2021. 9. 16.
메타세콰이어 열매 뜻 길 나무 효능, 한국 이름, 꽃말 아미타불 은행나무와 더불어 살아 있는 화석 메타세콰이어 나무 분류 : 석송강- 석송목- 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 아명: 수삼 목(물가에 자라는 삼나무),‘아케보노스기(曙杉·여명의 삼나무라는 의미)’ 메타세콰이어 한국 이름은 수삼목 정도 되겠군요. 영문명: 영어로는 Dawn Redwood라고 부름. 메타세콰이어 꽃말 : 검색해보니 메타세콰이아 아미타불을 밀고 계신 블로거가 한 분 존재. 메타세쿼이아, "Metaseqoia (1)/ 꽃말:아미타불, 阿彌陀佛 /학명:Metasequoia giyptroides " 높이:35m 개화시기 : 4월~ 5월 메타세콰이아 나무 원산지 및 자생지: 중국/한국 (중국이 현 식재된 메타세쿼이아의 원산지, 한국은 자생지 중 한 곳) 식용 여부: - 약용 효능 : 먹어.. 2021. 9. 9.
고산자 김정호는 백두산에 오르지 않았다? 대동여지도는 불태워지지 않았다? 우리가 역사시간에 대동여지도에 대해 배울 때 이런 이야기를 배웁니다. 고산자(古山子) 김정호는 조선에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 싶어서 자비를 들여서 평생의 업적으로 "실측"으로 매우 정확한 축척의 대동여지도를 만들었지만, 외침에 시달리던 흥선대원군이 "지도가 너무나도 정확해서 적을 이롭게 하니 대동여지도는 불태워버리고 김정호는 죽여버려라"라고 해서 대동여지도는 불태워지고 김정호는 옥에 갖혀서 고생하다가 옥사했다. 라는 것을 정사로 기억하고 있죠. 참 우리는 우매한 시대를 살아온 것 같네요. 가르치면 가르친데로 무조건 외우고 배워서 그 것이 진리인양 믿고 살고 있죠. 과연 조선시대에 일개 평민이 조선팔도를 발로 걸어 다니면서 지도를 만든다는 것이 가능하기나 했을까? 그게 불가능한 일이니 김정호의 업적이 아니겠.. 2021. 9. 7.
세상에서 가장 큰 새 슈빌 가격 넓적부리황새 예전에 라디오스타에서 도라에몽 덕후 심형탁이 반해 있다는 새로 소개된 새가 있는데요. 심형탁은 실제로 이 새를 본 적이 없다는 것 같아요. 예전에 엠블랙의 이준도 라디오스타에 나와서 이 새에 대해 열변을 토했었죠. 덕분에 한 때 검색어가 라디오스타 심형탁 새였습니다. 심형탁이 새됐다는 게 아니죠. 바로 살아있는 화석이자 나는 새 중에서 두 번째로 큰 새로 알려진 슈빌입니다. (첫째는 앨버트로스 날개 길이 3미터, 슈빌은 2.6미터. 하지만 키는 슈빌이 더 크데요. 다리가 길어서) 부리가 구두를 닮아서 슈빌이라고도 부르고... 고래의 입과 같이 크다고 해서 웨일 헤드(whale head)라고도 불린다고 해요. 우리나라 말로는 넓적부리황새라고 불립니다. 슈빌 새는 현재 한국에 딱 1 개체만 존재하고 사천에서.. 2021. 9. 1.
우담바라 꽃으로 오해받는 명주잠자리 알 우담바라로 오해받는 명주잠자리 알 일전에 사무실 앞을 서성이는데 사무실 마당에 열린 감나무의 감 열매에 명주잠자리 알이 매달려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이걸 두고 우담바라라고 우기는 무식쟁이들이 세상에 이런 일이에 가끔 나오곤 했었다. 요샌 이걸 우담바라 꽃이라고 우기는 인간들은 없으려나? 우담바라는 우담발화(優曇鉢華), 혹은 우담화(優曇華)라고도 한다. 불교에서 연꽃과 함께 신성시하는 꽃인데 연꽃은 실체가 존재하는 반면 우담바라 꽃은 전설의 꽃이다. 오직 불교 세계관에서만 존재하는 꽃으로 3천 년에 한 번 여래(如來)가 태어날 때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나타날 때에만 그 복덕으로 말미암아 피는 꽃인데, 이걸 매년 아니 어디서나 흔하게 발견할 리가... 위와 같은 상태로 풀잠자리 알(명주잠자리 알)을 보.. 2021. 8. 24.
[서산 류방택 천문기상과학관] 충청도 천문대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달 사진 - 천체사진 촬영 요즘 스마트폰들이 좋아지고 있지만, 사실 스마트폰으로 달 사진을 찍어봤자, 허연 동그라미밖에 찍히지 않는다. 그마저도 손떨림이 없어야 예쁘게 동그란 모양의 달이라도 찍힌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진도 분명히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물론 스마트폰만으로 촬영한 것은 아니다. 사실 달이나 별 사진을 촬영할 때 DSLR이나 하이엔드가 더 잘 찍힐 것 같지만, 고가의 망원렌즈의 도움 없이는 힘들다. 서산 류방택 천문기상과학관에서 천체망원경 접안렌즈에 스마트폰을 가져다 대서 찍은 달 사진이다. 물론, 하이엔드 중에는 괴물 같은 망원 줌 능력을 가진 기종으로는 달 사진 촬영이 용이하다. 이미 그 카메라들 자체가 망원경 성능을 넘어설 정도니까 말이다. 그런데 천체망원경의 접.. 2021. 8. 19.
조선 왕릉 위치 - 정릉은 누구의 묘? 서오릉, 동구릉, 선정릉, 헌인릉, 융건릉, 사릉, 광릉, 온릉, 세종대왕릉(영릉), 서삼릉, 장릉, 후릉, 연산군묘 조선왕릉의 위치와 조성 연도 홈페이지 주소. 조선 왕릉 위치 조선 왕조의 묘 릉 원 - 정릉은 누구의 묘 건축학 개론에서 잠깐 나오는 질문인 정릉이 누구의 묘인가 라는 질문에 답할 수가 없었다. 선릉역을 지나다니지만 누구의 묘인지 모른다. 조선 최초의 왕릉 건원릉은 태조 이성계의 릉이다. 정릉은 태조 이성계의 부인인 신덕왕후의 왕 묘이다. 건원릉은 태종 8년에 정릉은 태종 9년에 조성되었다. 하지만 사실은 제릉 (태조의 왕비 신의왕후 릉)이 더 먼저 조성되었지만, 고려 고양 왕 때 조성되었다. 태릉은 갈비로 유명하고 광릉은 그저 수목원일 뿐인 나 T_T;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전역에 이렇게도 많은 조선 릉이 있었네요. 왕조의 묘 명칭 릉과 원의 차이. 릉은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들의 묘.. 2021. 8. 17.
서브웨이 뜻 빨간 간판 의미. Subway 노란 간판의 차이점 비밀 서브웨이 빨간 간판 의미와 뜻. Subway 간판의 비밀. 여기서 잠깐 서브웨이 뜻으로 검색해 들어오는 사람들은 뭐지? 진심 서브웨이의 뜻을 보르나? 길을 뜻하는 웨이에 아래를 뜻하는 서브가 붙었으니 서브웨이는 지하도 같은 뜻이겠으나 일반적으로는 지하철을 뜻한다는 거 모르낭? 동네마다 하나씩 꼭 있는 서브웨이 매장. 서브웨이라면 당연히 초록색이 연상된다. 하지만 그중 서브웨이 빨간 간판은 그렇게 많지 않다는 사실! 오늘은 서브웨이 빨간 간판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다음 시간에는 검은색 간판과 서브웨이 노란 간판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아요~ 진짜 정답은... 매장 오픈 시기별로 인테리어 정책이 달랐기 때문이다. 서브웨이 안국점 고대점 공덕점 간판은 빨간색. 서브웨이 외대점은 노란색. 심지어 검은색 간판도 있다. 2021. 8. 10.
대동여지도 독도 있다? 없다? 독도는 우리 땅! 헌데 조선 최고의 정확도를 자랑하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독도가 그려져 있지 않아요~ 정말? 아뇨~네, 아...음...아뇨...맞아요... 애~매 합니다~ 이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동여지도 "목판본"이란 것과 "필사본"이라는 것에 대한 차이를 인식해야 해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굉장히 정확한 실측도의 지도예요. 그리고 이렇게 정확한 지도를 대량으로 보급하기 위해서 목판에 새겨서 인쇄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지도였지요. 그래서 "대동여지도 목판본"이라는 말들을 주로 하는데요. 목판본 말고도 "필사본"이라는 사본도 존재해요. 목판본은 거의 원본에 해당하는 지도인데요. 목판에서 바로 인쇄를 떠낸 원본에 해당합니다. 필사본은 요즘 블로거들이(저도 포함) 누군가의 글이 좋으면 캡처 떠서 .. 2021.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