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 조팝나무 검색이 눈에 띄네요.
저도 처음에 이 식물에 관심을 가졌을 때 친구가 흰꽃 나무 가로수 이름이 조팝나무라고 우기던 친구 때문이었는데요.
꼭 조팝 같은 것들이 절라 아는척하면서 조팝이라고 우기죠.
아마 당신 혹은 당신 친구나 배우자가 겁나 아는 척하면서 거들먹거리면서 대로변의 키가 큰 흰색 꽃이 흐드러지기 핀 나무를 조팝나무라고 우긴다먼 "좆밥 새끼"라고 저 대신 욕해주세요.
어느 날부터인가 눈에 잘 보이지도 않던 식물이 눈에 띄었다.
나무들의 크기로 보아, 몇십 년은 저 자리에 있었을 법한데, 왜 유독 이제야 눈에 띄었을까?
저리도 화려하게 신기할 정도로 기괴하게 꽃을 피우는 나무인데 말이다.
5월에 피는 흰꽃 나무 가로수 이팝나무
이팝나무: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이명: 육도목(六道木), 입하나무[立夏木]
원산지: 한국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 산골짜기나 들판에 서식.
간혹 네이버 지식인에 이팝나무를 조팝나무로 답변하는 지식인들이 간혹 있다.
5월에 피는 흰꽃 나무 가로수
조팝나무와 이팝나무는 이름이 비슷해도 꽃은 확실히 다르다.
조팝나무 이팝나무 차이
이팝나무 꽃은
이렇게 생겼고, 조팝나무 꽃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4월에 피는 흰꽃나무 가로수? 관목이라 키가 크지 않다.
게다가 조팝나무와 이팝나무의 크기와 모양도 현격하게 다르다.
조팝나무의 높이는 1.5m~2m, 이팝나무는 20m까지 자라기 때문이다.
조팝나무와 이팝나무의 차이중 가장 큰 것은 교목이냐 관목이냐는 차이다.
조팝나무는 낙엽관목에 속하고 이팝나무는 낙엽교목에 속한다.
관목은 보통 2m 이하의 나무를 뜻하고, 교목은 높이 8m 이상 자라는 나무를 교목이라 한다.
보통 장미과 식물은 대체로 관목이고, 물푸레나무는 교목이 많다.
이팝나무라는 이름의 연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추론이 있다.
첫째는 입하(立夏) 무렵에 꽃이 피므로 입하가 이팝으로 변음하였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 꽃이 만발하면 벼농사가 잘 되어 쌀밥을 먹게 되는 데서 이팝(이밥, 즉 쌀밥)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셋째는 꽃이 필 때는 나무가 흰 꽃으로 덮여서 쌀밥을 연상시키므로 이팝나무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팝나무의 한자 이명은 육도목(六道木)이다.
이팝나무의 학명은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가지는 사방으로 퍼져 자란다.
육도목의 잎은 서로 마주 달리고 타원형·난형·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핀다.
잎의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릴 때는 복거치(複鋸齒)가 있다.
잎의 표면의 중륵과 뒷면 중륵의 밑부분에 털이 있다.
이팝나무 꽃은 대체로 5월과 6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추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이팝나무 꽃말은 영원한 사랑, 자기 향상이다.
조팝나무 꽃말은 단정한 사랑 헛수고 노력 등이다.
이팝나무 꽃의 꽃받침과 화관은 네 개로 갈라지고 수술 두 개가 화관 통에 붙어 있다.
당연하겠지만 수꽃에는 암술이 없다.
이팝나무 열매는 타원형이며 길이 1∼1.5㎝로서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한국에서 이팝나무의 분포는 주로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자라지만 해안을 따라 인천 앞바다까지 올라오지만 서울에도 많이 식수가 되어 있어서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전라남도에서는 이팝나무 꽃이 입하를 즈음해서 꽃이 핀다고 입하 나무[立夏木]라고 부르고, 못자리를 시작할 때 꽃이 한꺼번에 활짝 피면 그 해는 풍년이 들고, 잘 피지 않으면 흉년, 꽃이 시름시름 피면 가뭄이 심하다고 전하여오고 있다.
육도목이라는 이명은 중국, 일본의 풍습 중 장례 때 관에 쌀을 넣어주는 풍습이 있는데, 저승길에 노자처럼 저승사자에게 잘 보여서 윤회의 6길인 극락, 지옥, 현세, 짐승, 수라, 아귀의 6개의 길을 잘 갈 수 있게 하는 뇌물로 넣어주는 쌀의 이름이 육도미였다고 한다.
흉년일 때는 이팝나무 꽃을 잘 말려서 쌀 대신 넣어 주었기에 이팝나무를 육도목이라고 부르며, 육도목인 이팝나무의 나무로 만든 염주 등을 육도목 염주라고 한다.
잎이 피침형이고 꽃잎의 너비가 1∼1.5㎜인 것은 긴 잎이 팝 나무라고 한다.
오랫동안 농민들이 풍년을 점치는 나무로 삼았기 때문에 보호가 잘 되어 수령이 오래된 이팝나무들이 많은 편이다.
항상 소나무의 솔방울은 가을이 다 지나서 쩍 벌어져서 땅에 떨어진 것들에만 익숙했었는데요.
이제 막 수정이 되어 열매가 자라는 것에 처음으로 관심을 가져 보고 사진을 찍어 봤습니다.
소나무 꽃 : 구과 목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분포지: 한국, 중국 북동부, 일본
이명(소나무의 다른 이름): 솔, 솔나무, 소오리 나무, pine tree
소나무 꽃말: 불로장수
소나무는 35m까지 자라며, 사시사철 푸른 나무이다.
소나무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 암꽃은 새 가지의 끝에 달림.
소나무 꽃의 꽃가루가 봄에 많이 날릴 때 노란색의 꽃가루가 바람에 날리며, 물이 고인 데에 노랗게 떠다니는 것이 소나무 꽃 가루이다.
송홧가루라고도 불리며, 송기떡이나, 다식 과자를 만들 때도 쓰임.
송화 가루의 채취는 수꽃이 피기 전에 송화를 따서 말린 뒤 화분 가루를 채취함.
송화가루 효능
송화가루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들어 있어서 항염작용을 하며 신진대사를 돕는다.
때문에 혈관 탄력을 유지시켜주며 지방간에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비타민C의 기능을 보강해서 모세혈관 강화를 통해 혈행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소나무는 매우 고급의 목재로써, 강도가 강하고 장마철의 습기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으며, 도자기를 구울 때 필수 연료로 사용됨.
소나무 목재의 숯은 부드러워 약재로도 활용.
소나무 잎과 어린순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떡을 찔 때 쉬지 않게 하는 용도 등으로도 활용됨.
과거 춘궁기에 식량이 부족할 경우, 소나무의 속껍질을 벗겨서 식용하였음.
소나무의 진액은 송진이라 하여, 전쟁 시에 연료로 활용되며,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은 귀중한 한약 재료로 사용.
소나무 열매는 완전히 성숙되기 전에 파란색의 것으로 술을 담그기도 함.
사실 소나무는 거의 모든 부위가 술의 재료로 활용되기도 함.
향이 강해서 특징적인 전통주의 재료가 됨.
열매의 씨앗은 잣나무의 잣보다 맛이 있지만, 크기가 작아서 까먹기가 귀찮음.
전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차이점.
잣나무가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잣나무, 전나무, 소나무를 정확히 구별하는 사람이 의외로 적다.
소나무와 잣나무 구별법
소나무 잣나무 비교는 대체로 잎의 개수로 하면 쉽다.
소나무는 잎이 핀셋 같이 2개가 붙어 있다.
반면에, 잣나무는 5개를 이루고 있다.
소나무 잎 잣나무 잎 비교
외래종 소나무는 잎이 3~4개.
전나무는?
일정치 않다.
제멋대로다.
2개일 수도 있고, 5개일 수도 있다.
소나무와 전나무의 구별은 잎보다, 나무 기둥의 모양으로 판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소나무는 거의 곧게 자라는 녀석이 없다.
항상 삐딱하다.
반면에 전나무는 과거에 전봇대로 사용되었던 만큼 전봇대만큼이나 곧게 자라는 편이다.
전나무 잣나무 차이
전나무 잎은 잣나무에 비해 잎이 짧은 게 특징이다.
좀 더 정확하게 구분하려면, 가지의 모양을 보면 된다.
소나무의 가지는 불규칙하게 뻗어 나온다.
반면에 전나무의 가지는 일정한 층을 이루면서 5~7개가 방사형으로 자라 나간다.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문: 구과 식물 문 강: 구과 식물 강 목: 구과목 과: 소나무과 속: 소나무속 종: 소나무
학명 Pinus densiflora

'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대 중과실 형사합의? 민사 보험합의 인천 청라 손해사정사 수임료 내고! (0) | 2022.03.10 |
---|---|
멋있는 영어단어 다국적 기업의 슬로건과 뜻. (0) | 2021.12.06 |
12월19일 매헌 윤봉길의사 사형일 이봉창 서거 의사 열사 지사 (0) | 2021.12.04 |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기 5월 물병자리 11월 사자자리 1월 사분의자리 인천 서구 별보기 좋은 곳 별똥별 잘 보이는 곳 Leonids Quadrantids Aquarius Geminids meteor shower (0) | 2021.12.03 |
4월 5월의 노란꽃 - 배추꽃 유채꽃 갓꽃 구별 십자화과 채소 야생 겨자, 브로콜리, 케일, 양배추, 콜라비 모두 같은 Brassica 종 (0) | 2021.11.1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