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식품 건강

돌외잎차 부작용 효능 - 다이어트에 좋은 차 /골반 넓어지는, 변비에 좋은 운동 요가 자세, 장에 좋은 운동 feat 정아름 트레이너

by sk난아연 2022. 1. 5.
반응형

요즘 다이어트에 좋은 차로 각광받고 있는 돌외 잎차.

돌외 잎차의 주 재료는 돌외 잎인데요.

돌외는 제주도와 울릉도 지역의 산과 들에 자생하는 덩굴식물로 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박목 박과의 식물이라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거나 엉켜 자라며 마디에 흰 털이 있는 식물입니다.

8~9월에 꽃이 피고, 암수딴그루의 황백록 색의 원추화 꽃을 피웁니다.

열매는 장과로 어두운 녹색으로 익습니다.

돌외 잎은 칠엽담이라고 부릅니다.

이 돌외 잎에는 비타민B, 비타민C뿐만 아니라 인삼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돌외잎 효능이 주목받고 있어요.

돌외잎차 효능

돌외 잎의 사포닌 성분은 지방을 분해하고 지방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서, 돌외 잎으로 차를 만들어 먹는 다이어트가 최근 각광받고 있다고 해요.

요즘의 돌외잎차 효능은 주로 다이어트 인 셈이죠.

얼마 전에 주영훈 씨가 다이어트를 할 때 돌외 잎차를 복용했다고 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었죠.

그 이외의 돌외잎 차의 효능으로는 기관지 질환에도 좋고, 사포닌과 비타민C로 원기회복과 두뇌활동, 당뇨, 암 등에도 도움이 되며,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돌외 잎의 사포닌 성분은 인삼사포닌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당체인 사포닌 전체의 함량은 인삼보다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고 해요.

돌외 잎과 줄기의 사포닌 종류가 같지만, 사포닌의 함량은 줄기보다 돌외 잎에 많다네요.

돌외 잎이 주목받고 있는 주요 돌외 잎차의 효능인 다이어트 효과

AMPK(AMP-activate Protein Kinase)는 ATP 생산과정을 촉진하는 효소인데요.

AMPK 효소가 활성화되면 저장된 에너지 즉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고 지방을 분해하며 지방합성을 억제한다고 합니다.

돌외 잎의 사포닌 성분 중에 Actiponin이라는 성분이 AMPK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이 성분에 의해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요.

전북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논문으로 연구된 실험에서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3달 동안 돌외 잎차를 투여해서 체지방량은 22.44kg에서 21.40kg으로 1.04kg 줄고, 체중은 76.18kg에서 75.21kg으로 0.97kg이 감량되었다는 결과가 있었어요.

홈쇼핑에서는 이 논문만을 근거로 돌외 잎차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차로 판매하고 있는 것이죠.

생각보다 효과가 좋진 않군요.

돌외잎차 부작용

돌외 잎도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존재해요.

돌외 잎차의 부작용도 돌외 잎의 부작용과 동일하겠죠?

일부 사람들에게서는 구토와 오심, 복부 창만, 설사 혹은 변비, 어지러움증, 이명의 돌외잎차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해요.

하지만 증상 자체가 가벼운 정도라 크게 걱정할 만한 증상은 아니라고 하네요.


방광 근육 강화 운동 골반 기저 근육 단련법 ->athink

엄지의 제왕 방광 건강 편에서 골반의 근육을 키워야 방광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내용이 소개된 적이 있다.

방광 근육 강화 운동법으로 방관 근력을 강화해보자.

방광의 근육은 의지대로 조절할 수 없는 방광 근육.

이런 근육을 불수의근이라고 해요.

대신에 방광 근처의 요도를 조여줄 수 있는 골반 기저 근육을 단련시켜주면 요실금, 절박뇨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서 방광 건강에도 좋다는 논리인 듯하네요.

골반기저근=항문괄약근

골반 기저 근육 강화 운동으로 복압성 요실금의 완화 및 치료에 도움.

상체와 하체를 이어주는 중요한 근육 엉덩이.

골반 기저 근육 강화 운동 방법. 항문을 천천히 죄어 10초간 참아준다.
힘은 항문 주변에만 준다.
흡~하고 온몸에 힘주면 효과가 없대요.

숨을 편안하게 쉬며 항문을 조이는 게 중요!

서서히 항문을 풀어서 또 10초간 유지한다.

가외의 이야기인데 하일성 위원이 고 정명부 투수가 했다는 말을 전하는데, "빠른 공을 던질 때 항문에 힘을 주고 던져라!"라고 하자...

김태현이 따라 해 보고서는 다리를 올리는 순간 힘이 풀려요~

골반 기저 근육 강화 운동 마무리 동작. 1~2초 간격으로 조였다 풀기를 3번 반복.

처음 이 운동을 하면 잘 안되니까 위 사진처럼. 발 뒤꿈치를 모으고 발끝은 45도로 벌리고

엉덩이에 힘을 주어 뒤꿈치를 올린다.

한 번에 20초씩 10회 하루 3~5번씩 8주간 진행하면 좋다는군요.


작은 골반 넓어지는 운동 나비, 개구리 자세 효과

요즘은 무조건 마른 몸매보다는 나올 땐 나오고 들어갈 땐 들어간 그런 볼륨 있는 몸매가 인기죠^^

볼륨 있는 몸매가 되기 위해 중요한 부위가 바로 골반입니다.

그래서 오늘 블로그에서는 골반 넓어지는 운동을 배워보는 시간을 준비해 봤어요.

골반이 예쁘면 몸매가 안 예쁠 수가 없죠^^

그래서 남자분들 중에 여자들 골반을 가장 많이 보는 분들도 있죠. 접니다~

작은 골반 개구리 자세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이 자세는 생김새가 딱 개구리 같아 보이는 자세인데 개구리 자세 골반 교정을 통해서 골반 넓어지는 운동 개구리 자세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합니다.

골반 운동에 좋은 또 다른 자세는 나비 자세 골반 운동입니다.

요가와 운동으로 이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아름다운 골반을 만들 수가 있다고 합니다.

골반 넓어지는 운동 or 애플힙 만드는 운동!!

골반 넓어지는 운동이라고 알려진 개구리 자세 같은 건 골반에 오히려 무리가 갈 수 있으니 하시고 싶더라도 잘 알아보시고 하시길 바라요.

오히려 엉덩이 위주로 운동을 하시고 골반을 잡아주는 운동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예쁜 골반 and 애플힙으로 올여름 남심을 사로잡아 보세요~!!

오늘 준비한 골반 넓어지는 운동 배우기는 여기까지 입니다.


변비에 좋은 운동 요가 자세 동영상 - 장에 좋은 운동 feat 정아름 트레이너

오는 블로그에서는 변비에 좋은 운동, 장에 좋은 운동을 배워볼 수 있는 동영상을 소개합니다.

제가 잘 설명해드리면 좋겠지만... 사실 운동은 제 전문이 아니라서 말이죠~~

그래서 저도 찾아보고 배우는 것들이니... 괜찮은 동영상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여성분들은 특히나 변비 때문에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죠~

주위에 보면 변비가 없는 여성분들이 없을 정도로 많은 분들이 고생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준비한 영상입니다.

잘 보시고 장 건강 챙겨보세요^^

총 2개의 운동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첫 번째 변비에 좋은 운동 영상은 바로 요가입니다.

변비에 좋은 요가 동작을 직접 따라 해 보고 효과를 느껴보세요~!!

변비에 좋은 요가 자세가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초보자분들도 따라서 배워보시는데 어렵지 않을 거예요.

영상을 보면 동작과 함께 설명도 함께해주니 설명 잘 들으시면서 하세요^^

두 번째 영상은 몸매 좋은 트레이너인 정아름 트레이너의 장 살리는 운동 동영상입니다.

도움이 좀 되신 거 같으신가요?

헬스 투데이에서 제작된 영상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믿고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모든 운동이 꾸준히 하시는 게 중요한 거 아시죠~

하루 10분, 20분 내셔서 건강 챙겨보세요~

오늘 준비한 변비에 좋은 운동 배우기 여기서 마칠게요.


엄지의 제왕 심혈관 회춘 바지락 들깨탕 레시피 feat 김정은 교수

봄철 혈관 건강을 책임질 엄지의 제왕 바지락 들깨탕 레시피.

심혈관 회춘 명약 식재료 바지락과 들깨탕으로 구수하고 시원한 바지락 들깨탕.

바지락 들깨탕의 재료는 바지락, 들깻가루, 마늘, 파, 간장, 멸치, 다시마

김정은 교수님 푸릇푸릇하실 때 무려 5년 전

멸치와 다시마는 육수를 내기 전에 미리 볶아서 비린내를 제거.

멸치와 다시마로 육수를 내세요.

좋은 바지락은 껍질이 단단하고 비린내가 나지 않는 바지락을 사용하세요.

바지락끼리 서로 두들겼을 때 맑은 소리가 나야 신선한 바지락이래요.

바지락을 육수에 넣고 끓여주세요.

다진 마늘과 국간장을 넣어 줍니다.

바지락이 입을 벌리면 간을 하세요? 바지락 자체도 짠맛을 내요~

간을 한 뒤에 들깨가루와 대파를 넣고 끓여내면

봄철 혈관 건강에 좋은 바지락 들깨탕 완성.

 
반응형

태그

댓글0